4) 인적 연망을 보여주는 자료들 ?

LTSC 2021의 주 Office 버전은 16.0으로 Office, 이는 2019년 2019년(및 2016년 Office 버전)과 동일한 주 버전입니다. 동일한 주 버전을 사용하면 2019년 2019에서 업그레이드할 때 다음과 같은 Office 있습니다. 그룹 정책을 사용할 때 다음 정책 설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OS를 실행하는 디바이스의 경우 Office LTSC Standard 라이선스가 있는 고객에게 Mac 2021용 2021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경주최씨라고 하면 교동에 있는 최씨가 잘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소위 경주 최부잣집으로 역시 최진립의 후손이 된다. 집사 분정기도 11점이 있는데, 집안 제사의 헌관을 기록한 것도 있고 종묘제사나 서원제사시 헌관의 명단을 적어놓은 것도 있다. 사초는 23점이 있는데, 이 중에는 경복궁 중건을 명한 대왕대비의 전교나 청상의 활동, 화적의 체포와 같은 사회문제, 대원군의 실각, 표류한 외국인을 처리하는 문제에 대한 우의정의 차자와 같이 이 집안에서 관심을 갖고 있던 문제를 옮겨 적은 것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집안의 다양한 교유관계를 말해주는 간찰도 다수 남아있다. 그 외에도 서원의 수입과 지출을 기록한 회계책인 都錄이 다수 남아 있다. 이 都錄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면 서원의 재정상태를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龜岡書院의 자료는 通文, 明文, 考往錄, 執事記, 尋遠錄 등 成冊類 자료이며 마지막으로 留鄕所 관련 자료는 關文, 立議 , 完議, 稟目, 書目 등과 成冊類의 자료가 있다.

우선 양월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는 敎旨, 祿牌, 解由文書, 戶口單子, 所志, 明文, 試券, 望記, 行狀 등이 있다. 그러나 조금만 시각을 달리하거나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한다면 이 집안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는 새롭게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이 아주 많다고 생각된다. 이들은 모두 개항을 전후한 시기 영남지역 유생들의 주요한 동향과 의식을 잘 보여주는 자료라고 생각된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간찰에 대한 세밀한 분석, 아울러 이 집과 혼인으로 연결되어 있던 안동의 남인 가문의 자료들과 연계해서 분석한다면 기존과는 다른 해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일기에는 날씨, 향촌사회에서 발생한 일, 교유한 인물 등에 대한 기록이 상세히 적혀 있다. 아울러 현판 등에 쓰인 시문을 탁본한 것이 7점이 있다. 개인 자료 소장가 중에서 우리팀이 주목한 것이 새마을 운동가인 정순덕 선생이었다. 이 사료군의 자료는 국사편찬위원회 지역사 자료 조사 수집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2007년도 경주 이씨 양월 문중(경주 안강) 조사 수집 연구 용역(주제별 과제, 연구책임자 : 이욱)의 결과로 수집되었다. 이처럼 경주 이씨 양월문중 자료는 문중의 자료만이 아니라 서원과 유향소 자료를 포함하고 있어서 다양한 자료 구성을 보여준다.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 자료는 크게 세 갈래로 나뉜다.

중점 수집 대상을 읍면 및 개인 소장 농지개혁(분배/상환) 자료, 읍면 및 새마을 협의회 새마을운동 자료, 근현대 지역 특성과 시대상이 담긴 사진자료, 근현대 군대 생활문서 일기류, 각종 포스터 자료에 중점을 두었으나 그동안 문경시 등에서 조사된 행정자료는 수집하진 않고 조사 파일을 확보하는데 그쳤다. 국사편찬위원회 1997년 사료 수집 지원 사업으로 경북 고령 지역 소장 자료를 간접수집하였다. 등이 사료 가치가 높다. 이외에 태릉 수호군으로 편입되었다가 을축년 12월경 서원의 직임으로 차출된 김흥복 등을 태릉 참봉이 갑자기 감하하자, 이에 반발하여 다시 서원으로 임용해달라고 호소하는 내용 등이 들어있다. 전여기는 서원의 임원이 교체되어 인수인계할 때 작성한 문서인데, 여기에는 당시 서원에서 사용하던 물품에 대하여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사직 상소가 3점, 퇴계 이황의 손자인 이영도가 병자호란 때 행했던 공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증직을 받았으므로 그에 합당한 증직을 내려줄 것을 청하는 강운이 작성한 상소문 초본 1점과, 정절을 지킨 이 집안 며느리에게 정려각을 내려줄 것을 청하는 상소문 2점이 있다. 다음으로 강각과 관련이 있는 병자호란 때 봉화지역으로 내려온 이른바 태백5현을 배향하는 문제와 관련된 통문이 있다. 간찰 자체가 사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에, 간찰을 개별적으로 검토할 때 구체적인 의미나 내용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광주오피 삼성현(설총, 원효, 일연)의 출생지이며 조선시대 초에는 세종 때 좌의정을 지낸 경암 허조의 세거지로 유명한 곳이다. 아울러 조선시대 사족들은 간찰이나 행장을 주고 받는 일을 世交之誼로 생각했기 때문에 함부로 훼손하지 않았던 것도 현재 많은 자료가 남아 있게 된 배경이다.

이 두 가지 문서는 원래의 소장처는 달랐지만, 종가가 서원운영의 주체인 관계로 종손이 보관 및 관리하게 된 것이다. 왜관읍과 대구를 연결하는 철도가 완파되는 등 칠곡군 전체 지역이 6.25전쟁으로 인해 멀쩡한 집 한 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초토화 된 지역이었다. 다른 한 점은 개항 이후 미국측에서 보내온 외교서신 1통과 이에 대한 의정부의 논의를 기록한 草記를 모은 사본이다. 한 전답안에는 畓 40斗落, 田 55斗落只를 소유한 것으로 나타나고, 다른 한 자료에는 29필지의 농지를 소유한 것으로 나타나있다. 2) 향촌의 실상을 보여주는 생활일기 이 집안에서 소장한 자료 중 특기할만한 것으로 향촌의 실상을 보여주는 생활일기가 있다. 첫 번째는 편지를 주고받은 인물을 분석하여 향촌의 사족들 사이에 만들어진 인적 연망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 안동 사족들 사이의 인적 연망을 알 수 있으며, 또 이러한 연망이 대원군집권기의 연명상소, 위정척사운동, 의병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였음도 이해할 수 있다. 경주이씨가의 고문서는 정무공 최진립 종손가(제1파 종가)에서 나온 고문서와 용산서원 소장고문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 외에도 제3파 종가소장 고문서, 가톨릭대학 소장고문서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설정 파일이 xml로 만들어져 있으며, 사용법은 간단 합니다. Toilets and wash rooms are associated with bad energy, but an office can’t do without them. 4. There are some small icons of Bathroom/Wc, Kitchen,Bedroom,Hall,Gallery,Direction cut,Entrance,Window.Drag these icons and place them in the directions in which they are?

4) 인적 연망을 보여주는 자료들 ?
Scroll to top